오늘은 대표적인 월배당 주식이자 8~9%의 고배당 주식인 'AGNC 인베스트먼트 (티커 AGNC)'를 소개하겠습니다. AGNC는 리츠의 대부분인 임대 소득을 얻는 자기자본 리츠가 아닌 모기지 투자 등 이자수익을 얻는 모기치 리츠로, 금융위기에서도 우수한 역량을 보여준 회사입니다.
1. 기업 개요
AGNC의 정식명칭은 'AGNC Investment Corp.'으로 티커도 'AGNC'입니다. AGNC는 과거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에 설립된 모기지 리츠이며, 2020년 12월 기준 굴리고 있는 자산규모가 8,118억 달러(한화 약 90조 원)에 달합니다. 한 가지 주목할 점은 리츠 대부분은 부동산을 소유하고 임대하여 얻는 임대수익을 비즈니스 모델(리얼티인컴, 아메리칸타워, 디지털리얼티 등)을 갖고 있지만, AGNC는 모기지 증권 투자 활동을 통해 이자수익을 얻는 비즈니스 모델을 갖고 있습니다.
AGNC는 2008년 5월 상장되어, 금융위기를 포함하여 배당 중지없이 계속 배당을 지급해온 모기지 리츠입니다. 현재 기준 8.93%의 고배당 종목으로서 고배당주 목록에서도 배당률 상위에 랭크하고 있고, 주가도 지난 몇 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 AGNC 사업 분석
AGNC는 미국 모기지를 기초로 한 주택저당채권(MBS*)에 투자하는 회사입니다. 특별한 점은 AGNC는 'Fannie Mae', 'Freddie Mac', 'Ginnie Mae'까지 이 세 개의 회사에서 발행하는 MBS에 투자하고, 이 세 개의 회사는 모두 주택 담보 대출 채권을 매입하여 이것을 묶어서 유동화한 MBS를 발행하는 증권화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이 때 이 세 기관은 정부의 지급보증을 받는 기관입니다. (정확히, Fannie Mae와 Freddie Mac은 민간기업이지만, 연방법에 근거하여 설립되었고 업무사 공공성을 띄기 때문에 정부의 암묵적인 지급보증을 받습니다) AGNC는 이 세 개의 회사가 발행한 MBS에만 투자를 하는데, 사실상 미국 연방 정부의 지급보증을 받는 MBS에만 투자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 MBS : 1차 증권에 해당하는 여러 주택담보대출(모기지)을 모아서 2차 증권화 한 부채
3. AGNC 수익 분석 : 이자수익, 자본이득
AGNC는 크게 1) 이자수익, 2) 자본이득을 통해 수익을 얻습니다. 이자수익은 MBS에서 얻는 '고정이자'에서 차입해온 자금의 이자 비용을 뺀 순수익이며, 자본이득은 보유한 채권의 가격상승으로 인한 시세차익입니다.
SEC에서 확인할 수 있는 AGNC 손익계산서를 보면, (1월~6월 기준)2020년 대비 2021년에 총이자수익은 감소(920 → 806)하였으나, 순이자수익은 증가(360→760)했습니다. 즉, 1) 총이자수익 감소, 2) 순이자수익 증가 모습입니다.
1) 총이자수익 감소의 원인은 AGNC의 채권운용 전략이 변화했기 때문에 채권운용규모가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 코로나 19로 인해 경기침체를 겪고 회복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자본손실을 최소화 하는 보수적인 채권운용전략(만기가 긴 우량채권 매각, 만기가 짧은 비우량 채권 매입)을 구사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장기채권을 대규모로 매각하기 때문에 총이자수익이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AGNC는 MBS를 매입하여 고정금리로 이자수익을 얻지만, 차입해온 자금에 대한 이자비용은 변동금리로 지급합니다. 코로나19로 인해 금리가 급격히 낮아진 상태이기 때문에 차입자금에 대한 이자비용이 매우 감소했습니다. 실제, 전년도 가중평균 이자비용은 0.24%였고, 현재는 0.11%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1월~6월 기준) 2020년 대비 2021년에 자본이득이 크게 감소(647 → 12)하였습니다. (가슴 아프네요..)
4. AGNC 주가 흐름 및 배당금
주가는 장기적으로는 꾸준히 감소하였습니다. 코로나 19 이후로는 코로나 이전에 근접하게 상승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배당금은 매월 꾸준히 지급되고, 주당 0.12달러를 주고 있습니다. 배당금을 삭감해온 것은 불안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만, 금융위기와 코로나19에도 우수한 역량을 보여주었고, 금리스왑 안정화, 금리 예측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주가는 최근 상승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투자를 한다면, 금리스왑 체결과 관련된 파생상품 손익에 집중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저는 조금씩 모아가는 중입니다.
투자 종목을 추천하는 것 아닙니다.
모든 증권투자는 반드시 자기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하여야 하며,
본 내용을 투자 근거로 사용하지 않길 바랍니다.
'경제이야기 (Economian) > 미국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투자] S&P 500 지수 추종 ETF, SPY (SPDR) (0) | 2021.11.16 |
---|---|
서학개미 입문자를 위한 미국주식 사는법 A to Z, 미국주식투자 기본 (거래시간, 수수료,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등) (0) | 2021.10.16 |
[미국 투자 포트폴리오] VYM, 미국 고배당주 투자 ETF (0) | 2021.10.07 |
[미국 투자 포트폴리오] 애플 AAPL, IT 기업을 넘어 디지털 필수소비재 기업으로 사과 갬성 애플(Apple) (0) | 2021.10.06 |
[미국 투자 포트폴리오] 엔비디아 NVDA, 컴퓨팅 및 인공지능 반도체 팹리스 기업 엔비디아(Nvidia) (0) | 2021.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