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가상각비 2

[주식 투자기법 재무분석] 쉽게 이해하는 EV, EBITDA, EV/EBITDA 완벽 정리

'EV, EBITDA' 역시 PER 형제들과 함께 많이 보게 되는 단어입니다. 가치투자를 할 때 꼭 챙겨봐야할 또 다른 지표이기 때문에 저번 글과 이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1. EV : 기업가치 EV는 Enterprise Value의 약자로서, 기업의 시장가치를 말합니다. 쉽게 이해하면, 주주가치와 채권자가치의 합을 말하며, 결국 '총 자산'입니다. 대차대조표(B/S)상에서 '자산 = 부채 + 자본'이 되는데, 내가 출자한 돈(자본)과 남한테 빌려온 돈(부채)를 갖고 각종 영업을 위한 자산을 꾸려가는 것입니다. 특히, M&A에서 EV는 중요한 고려요소입니다. 예를들어, 현재 삼성전자가 보유한 현금성자산이 20조가 있고, 현재 시가총액이 470조이며, 갚아야 할 차입금이 100조라고 할 때. 삼성전자 E..

[투자 공부] FFO(사업운영수익) - 리츠(REITs) 회사 수익성 및 배당 안정성 판단 기준

최근 서울 부동산 가격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오르면서 미국 투자자에겐 리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배당 수익을 위한 리츠주의 투자할 때 반드시 살펴봐야 되는 FFO(사업 운영수익)과 AFFO(조정된 사업 운영수익)의 개념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1. 배당성향 (Payout Ratio) 미국 배당주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눈여겨 보는 지표 중 하나가 바로 '배당성향'입니다.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이익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쓰입니다. ① 성장을 위한 연구, 시설, 설비에 투자하거나 ② 주주들에게 이익을 공유하는 배당입니다. 창출한 이익 중에 배당에 쓰는 돈이 높을수룩 배당성향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기업 입장에서 배당성향이 높을수록 이익을 주주에게 나눠주는 것이지만, 반대..

728x90
반응형